대학교에 입학한 것이 어제 같은데 어느덧 2학년이 되어 후배들 챙겨주기 바쁜 연일이다. 20살이면 다 될 줄 알았지만, 그렇지 않고 오히려 시간만 빠르게 흘러간 것 같다.
 영화에서는 세 남자가 등장한다. 멍하게 앉아 있는 것이 일상이고 섹스가 유일한 관심사인 백수 '치호(김우빈)', 생활고에 시달리지만 만화가를 꿈꾸며 아르바이트와 공부를 병행하는 재수생 '동우(준호)', 그리고 일류 대학에 입학했지만 술과 연애 등 모든 것이 서툰 '경재(강하늘)'가 그들이다. 전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셋은 고등학교 때 한 여자(소민)를 좋아하게 된 일을 계기로 친해진다. 
 영화는 시간이 흐른 뒤, 그들이 교복을 벗고 각자의 사랑, 꿈, 현실에 부딪히며 성장해나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영화 <스물>은 한마디로 관객들을 가볍게 웃기려고 만든 코미디 영화다. 배우들의 망가지는 모습, 해학적인 B급 연출과 유머들이 난무한다. 예를 들어 경재가 신입생 환영회에서 분수처럼 토하는 장면, 중국집에서 철거반과 싸우는 장면 등이 나온다. 익숙한 웃음 유발전략에 혹시나 하고 감독을 확인하니, 아니나 다를까 이병헌 감독이다. <써니>, <과속스캔들>의 시나리오를 쓰고 각색한 사람이다. 영화 <스물>에서도 그가 그동안 연출했던 작품에서 보여준 희극적 요소가 유감없이 나타나고 있다.
 보통 청춘드라마나 영화에서는 청춘이 가지는 인생의 무게와 그에 대한 위로가 나타난다. <스물>에서도 마찬가지다. 감독은 스무살의 청춘들이 보일 법한 모습을 과장되게 표현했지만 재치 있게 스크린 속에 담아냈다. 그 과장과 해학이 우리의 <스물>을 더욱 실감나게 그려내고 있는 것이다.
 극장을 웃음바다로 만드는 와중에도 한번씩 가슴에 박히는 대사들이 있다. 경재는 "스무 살이라고 하면 남들은 우리에게 좋은 나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정작 우리는 스무 살이 뭐가 좋은지 모르겠다"라고 말한다. 나 또한 스무 살이었을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자 이해할 수 없었던 말이다. 
 요즘에는 이런 이야기를 오히려 후배들에게 하고 있는 나를 발견할 때가 있다. 후배들도 영화처럼 시행착오를 하더라도 즐기며 살았으면 좋겠다.
 영화가 끝나고 나올 때 영화에 대한 상반된 반응을 체험했다. 한 관객은 너무 웃어 눈물까지 흘리며 "재미있었다"라고 말하며 나갔다. 다른 관객은 "감독의 의도를 모르겠다"라고 말하며 나갔다.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서 느낀 것은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아니라 '찌질하니까 청춘이다'였다. 영화는 스무 살을 바라보는 어른의 시각이 아니라, 진짜 스무살의 눈높이에서 말하고 있다. 
 어설픈 청춘들의 야하면서도 유쾌한 이야기이다. 다른 학우들도 친한 친구와 함께 보기를 추천한다. 가족이나 이성과 함께 관람한다면 민망한 순간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영화가 끝난 후에 '나의 스무 살은 어땠을까?'하고 돌이켜 볼 수 있다면 좋겠다. 
 
   류아영(행정언론학부 2년)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