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임 기자
 최근 방송위원회가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가운데 광고를 삽입하는 중간광고 범위를 확대키로 결정했다.
방송위원회의 이번 결정에 대해 시민단체들은 일제히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시민단체는 유·무료방송사업자들의 로비가 크게 한 몫한 것이 아니냐는 부정적인 의견과 함께 정부나 방송위원회의 일방적인 결정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방송위원회측은 중간광고의 도입이 시청자들에게 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선보이기 위해서라고 말하지만, 정말 그것만이 목적인지 의구심이 든다.

 시청자 입장에서 보면 중간광고는 좋을 것이 하나도 없는 제도이다. 시청자들이 보기엔 중간광고는 방송사의 물질적인 이익만을 추구하는, 그로 인해 시청자의 볼 권리가 침해당한다고 생각할수 있는 부분이다.

 방송위원회는 중간광고 도입에 대해 공개적인 토론회 한 번 거치지 않고 지난 2일 일방적인 결정을 내렸다. 특히 지난 14일 열린 공청회에서는 '중간광고 허용 여부'가 아니라 '허용 범위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중간광고를 도입하기로 이미 다 결정해 놓고 열린 공청회는 중간광고 허용범위를 확대할 것인가 말 것인가에 대해 학계와 시민단체들의 의견을 들어보는 기본적인 절차는 무시해 버리고 진행됐다.

 학계와 시민단체들의 이러한 반발은 중간광고 자체를 두고 반대하는 단체도 일부 있겠지만 방송위원회의 비민주적 의사결정과정에 더 큰 이유를 부여할 수 있다.

 중간광고의 긍정적인 면은 현재 '통'으로 되어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섹션화해 중간광고가 물리적 칸막이가 아니라 프로그램의 강도와 내실을 높이는 장치로 적극 수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기에 국산 콘텐츠의 해외 판매시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는 측면을 강조한다.
 

 현재 국내 방송사의 주 수입원은 공영방송인 KBS를 제외하고는 100%가 광고로 충당되고 있다. 방송사가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운영자금이 필요하고, 자금의 원활한 유입이 없으면 제작비의 감소로 이어져 수준 미달의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다.

 중간광고 도입을 위해서는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절충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도적 절충은 방송사와 광고주 그리고 시청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원광대학교 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